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결산

2020. 10월 재테크 결산 (10.15 - 11.14) 10월 재테크 결산의 마지막 영업일인 11.13일은 2021년에는 한국 주식 시장이 박스피를 탈출할 수 있을 것 같다는 기대감을 주는 하루였습니다. 박스피 탈출이 기대되는 이유는 삼성전자가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고, 최고가를 경신하면서 코스피 지수를 밀어 올렸고, 삼성전자의 주가는 하락보다는 상승의 가능성이 더 높다고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이번에는 코스피도 3000이라는 벽을 뚫어서 박스피라는 오명을 벗어버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번 달은 신한인싸자유적금이 만기가 되어 만기해지하였고, 잔돈모아올림적금 만기를 2년으로 가입한 실수로 인해 최대 저축 가능 금액인 500만원이 다가옴에 따라 주가가 크게 하락한 시점에 중도해지를 하고, SK와 KT&G를 매수하여 2주만에 매도 하여서 1100만원의 1년 이자.. 더보기
2020. 9월 재테크 결산 (09.15 - 10.14) 9월의 코스피도 여전히 2300 ~ 2400의 박스피를 유지하였습니다. 목표 수익률을 달성한 종목이 있었지만, 연말까지 조금 더 지켜보기 위해 매도를 진행하지는 않았습니다. 최근 달러 약세로 인해, 미국 배당주 투자는 손실액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꾸준히 매수하다 보면 언젠가는 플러스로 전환되길 바라며 계속 물타기를 할 예정입니다. 재테크 결과 (월급 - 소비) 로 인해 증가한 금융 자산보다 (약 21만원) 이 추가로 증가 (약 300 만원) 의 금융 자산을 보험성 자산으로 전환 (리밸런싱으로 인한 자산 감소) 소비 지방세 납부 만기 /매도 썸뱅크 포인트 통장 만기 (이자: 23,224원) 재테크 내역 [배당주투자] 미국 배당주 매수 (T, XOM, O, KO 등) [배당주투자] SK텔레콤 매수 (과대낙폭.. 더보기
2020. 8월 재테크 결산 (08.15 - 09.14) 8월 코스피는 2300 ~ 2400 의 박스권을 유지하였고, 목표 수익률을 달성한 종목이 없어서 주식 매도는 진행하지 않았습니다. 현재는 금리가 매우 낮은 시기이기 때문에, 소비 후 남은 금액들은 저축을 하지 않고, 대부분 주식 투자 금액으로 사용하였습니다. 재테크 결과 (월급 - 소비) 로 인해 증가한 금융 자산보다 (약 23만원) 이 추가로 증가 (약 400 만원) 의 금융 자산을 보험성 자산으로 전환 (리밸런싱으로 인한 자산 감소) 소비 특이사항 없음 만기 / 매도 내역 없음 재테크 내역 [배당주투자] 미국 배당주 매수 (T, MO, XOM, 등) [모멘텀투자] SK하이닉스, 삼성전자(우) 매수 [포인트수익] 카드 포인트 + 네이버 포인트 수익 (+약16만원) [배당수익] 국내 배당금 수령 (+약5.. 더보기
2020. 07월 재테크 결산 (07.15 - 08.14) 7월은 동학개미운동으로 인한 코스피의 지속적인 상승에 힘입어 새롭게 투자 방식에 대한 점검을 위해 매수한 종목들에서 금액은 크지 않지만 만족스러운 수익률을 올릴 수 있었습니다. 재테크 결과 (월급-소비) 로 인해 증가한 금융 자산보다 (약 11만원)이 추가로 증가 주식 매도로 발생한 (약 100만원) 가량의 수익은 모두 보험성 자산으로 전환 소비 특이사항 없음 만기 / 매도 [모멘텀투자] 삼성전자(우) 매도 (+13만원, 16%) (링크) [배당주투자] 동서 매도 (+87만원, 26%) (링크) 재테크 내역 [배당주투자] 미국 배당주 매수 (T, VZ, O, 등) [배당주투자] 국내 배당주 매수 (삼성전자(우), KT&G, SKT, 등) [포인트수익] 카드 포인트로 인한 수익 발생 (+10만원) [배당수.. 더보기
8월 재테크 결산 8월은 물타기의 계절이군요. 지난달에 저축 만기된 금액을 주식에 일부 투자하였는데, 주식 시장이 계속 안좋은 관계로 물타기를 하였습니다. 계속 손실이 커지면, 이번달 만기 예정인 금액도 물타기가 들어갈 수도 ㅠㅠ (원래 예정은 대출 일부 상환 예정이었으나 이미 OTL) 첫 P2P 투자는 조기상환 되어 이자는 500원정도에 이벤트 금액을 얻는 수준에서 투자가 마감되었습니다. 썸뱅크 1계좌는 9월로 만기가 되어서, 다음달부터는 20만원 입금 제한이 걸린 매우 아쉬운 상품으로 변경되겠네요. 상품권 교환금액에 대해서는 입금도 안되는데, 입금 제한이라도 풀어주면 좋겠네요. 신한은행 두배드림 적금은 이벤트가 있어서 다시 신규 가입을 했습니다. (신한 등급 유지 + 3천원 포인트 획득용 입니다) 끝으로, 소량의 배당.. 더보기
7월 재테크 결산 7월은 첫 P2P 투자에 대한 이자 227원이 상환되었습니다. 만원 이벤트를 위해, 안정성이 높은 상품으로 10만 원만 투자했기에 이자는 크지 않지만 부도 없이 상환이 잘된다면 추가 투자도 고려중입니다. 추가로 2년 전에 가입했던 적금도 만기 되었습니다. 이자는 11만원 정도로 크진 않습니다. 이런 걸 보면 상품권 / 포인트를 통해 얻는 수익이 작은 게 아니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만기 금액에 대해서 일부는 주식으로 재투자하였습니다만, 주식 시장이 좋지 않은 상황이네요. (7월 투자 결산) - 정기 적금에 240만원 정도 불입 완료 및 적금 만기 금액은 주식으로 재투자 - 2년 납입했던 적금 계좌 만기로 이자 수익 - 그 외 수익금은 P2P, 포인트 수익 더보기
6월 재테크 결산 6월은 카드 할부금 납부가 마지막이어서, 다양한 투자 상품을 추가로 많이 가입한 한달입니다. 안정적인 투자로 고이율 적금과 유사한 상품인 KB증권 발행어음 특판에 가입하였고, 웰컴저축은행의 잔돈모아올림적금 가입하면서, 겸사겸사 첫거래시에 우대이율(최대 4.2%)을 주는 첫거래우대 정기적금까지 가입하게 되었습니다. 고위험 투자로는 새롭게 토스 부동산 소액투자를 시작하였고, 주식 투자금액을 가상화폐쪽으로 리밸런싱 하였습니다. (6월 투자 결산) - 1000만원의 손해에도 겁없이 지난달에 이어 가상화폐에 추가투자. (총 투자금액이 크게 늘어난 상황인데 또다시 쓰라린 패배를 맛볼 것인가 기사회생을 할것인가?) - 6월은 하나머니에서 엘포인트 전환 한도가 30만원으로 조정되어서 포인트 추가 획득!!! - 수익은 .. 더보기
5월 재테크 결산 개인적인 재테크의 목적은 사치나 낭비를 위한 것이 아닌 경제적 자유입니다. 경제적 자유를 위해 세운 목표는 은퇴 시점에 필요한 소비 금액보다 큰 수익을 통해, 안정적인 생활을 하기입니다. 따라서 은퇴를 위해 지금부터 개인적으로 준비하고 있는 것은 금융 수익을 늘리는 것과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기입니다. 이를 위해 매달 수익과 지출에 대한 흐름 파악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기존에는 간단하게 가계부 + 매달 자산 증감액만 파악하였는데, 이러한 방법으로는 금융 수입, 부수입, 투자 수익 혹은 손실에 대한 흐름을 파악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어서, 매달 투자 및 수익 내역에 대한 정리를 통해, 향후 투자 방향 전환 및 결과 반성을 할 예정입니다. ( 5월 투자 결산 ) - (현재 손실이 -1000만원이긴 하지만 ㅠ... 더보기